천주교회사의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배론성지를 둘러보면 천주교인이 신앙을 지키기 위한 몸부림이 보이는 듯하다. 고귀한 목숨까지 내어 준 옛 성인들의 넋을 달래며 들꽃 하나 꺾어 계곡에 띄워보며 인사를 대신한다.
첩첩산중 계곡이 깊어 마치 배 밑바닥 같다고 해서 주론(舟獠) 또는 배론이라고 한다. 배론성지는 한국 천주교 전파의 진원지이며 천주교 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곳으로 1801년 신유박해 때는 많은 천주교인들이 배론 산골로 숨어들어 옹기장사를 하며 생계를 유지하기도 했다.
황사영은 토굴에서 당시의 박해 상황과 천주교도의 구원을 요청하는 백서를 집필하였는데 이 원본은 현재 바티칸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곳에 1855년 우리나라 최초로 사제배출을 위한 성요셉신학교가 만들어졌는데, 가르치던 외국인 신부와 배우던 신학생들은 병인박해 때 순교하였고, 신학교는 폐쇄되었다.
우리나라 최초의 유학생이며 김대건 신부에 이어 두 번째 신부가 된 최양업의 묘소가 소재한 지역이며 1866년 병인박해의 첫 순교자인 남종삼이 출생한 지역이기도 하다. 우리나라의 유일한 천주교 성지이기에 휴일이면 성지 순례를 오는 참배객들과 관광객들로 인해 조용한 산골 마을이 작은 들썩임을 보이기도 한다. 이곳은 가을 단풍이 아름다운 곳으로 입구에서부터 울긋불긋한 단풍잎이 성지 내에 펼쳐져 있는 잔디와 함께 가을 햇살에 녹아 흐르는 모습은 보는 이의 마음을 한없이 설레게 한다.
출처:http://tour.jecheon.go.kr/ktour/selectClturCntntsView.do?key=90&clturCntntsNo=16